한국 혼인율 


한국 혼인율

0 8,789 2016.05.27 20:49

 

한국 혼인율 문제

 

한국 혼인율이 역대 최저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초혼 연령은 높아지고 결혼 안하는 세대가 많아졌다고 하는데요.

 

한국 혼인율이 이렇게 낮은 것은 자기 계발과 1인 가구의 본격적인 시대의 도래 때문일 수도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경제적인 이유일 수도 있겠죠

 

한국 혼인율 소식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인구 1000명당 혼인 건수를 말하는 조혼인률은 5.9건으로 1970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후 가장 낮은 기록을 나타냈다고 합니다.

 

또한 남성·여성 초혼 연령은 각각 32.6세, 30.0세로 1년 전보다 0.2세 올랐구요

 

초혼 부부 중 연상연하 커플이 늘어난 점도 눈에 띄었는데요.

 

여성이 연상이고 남성이 연하인 ‘연상연하 커플’의 비율은 16.3%로 작년 대비 0.1%포인트 상승했다고 합니다.

 

한편 지난해 이혼(10만9,153건)은 전년보다 5.5%(6,357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합니다.

 

2015년 출생아 수는 43만8700명으로 전년에 비해 0.8% 오르긴 했지만 이 역시 역대 4번째로 낮은 수준이였는데요. 

연간 출생아 수가 44만명을 밑돌았던 해는 2015년을 비롯해 2005년(43만5031명), 2013년(43만6455명), 2014년(43만5435명) 등 4차례 뿐이였다고 합니다.

 

출산율을 연령별로 살펴보면 30대 이상의 출산율은 증가한 반면 20대 이하의 출산율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구요

 

산모의 연령별 출산율(해당 연령별 인구1000명당 출생아 수)은 30대 초반이 116.8명으로 가장 높았고, 20대 후반이 63.1명, 30대 후반이 48.3명 순이었다고 합니다.

한국 혼인율 최저 기록은 지난해 한국 경제성장률이 둔화되고 결혼 주 연령층인 20대와 30대의 실업률이 개선되지 못한 것이 영향을 미쳤다고 하는 전망인데요.

 

젊은층이 취업이 안되면서 결혼을 포기했다는 분석이 이어지면서  한국 혼인율 저조는 ‘N포 세대’의 또다른 숙제로 남겨질 것으로 보인다고 합니다.

Comments

카테고리
반응형 구글광고 등
  • 글이 없습니다.
최근통계
  • 현재 접속자 168 명
  • 오늘 방문자 1,101 명
  • 어제 방문자 1,085 명
  • 최대 방문자 6,268 명
  • 전체 방문자 998,528 명
  • 전체 회원수 13,549 명
  • 전체 게시물 20,710 개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